본문 바로가기
독서중

썩는 냄새의 방귀와 대변의 원인은?

by 쓰는사람 하이디 2022. 7. 25.
반응형

썩는 냄새의 방귀와 대변의 원인은?

 

방귀의 양과 냄새는 모두 먹는 음식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탄수화물 음식과 고기를 동시에 과다 섭취한 경우에는 소화불량으로 인해 입에서는 썩는 냄새가 나며, 변비로 인해 발생한 가스 때문에 방귀와 대변도 냄새가 심해 코를 움켜쥐어야 할 정도가 됩니다. 

 

변비는 도대체 우리 몸속에서 무슨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신호일까요?

단백질 과다 섭취로 인한 변비로 유익균인 유산균과 비피더스 균 대신 나쁜 세균, 즉 유해균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냄새의 원인이 되는 인돌, 스카톨, 암모니아, 유화수소를 비롯해 각종 나쁜 물질을 마구 만들어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 인체에 가장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암모니아'와 '유화수소'입니다. 

 

동물성 식품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해 소화와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우리 몸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균들과 중립 입장에 있던 대장균 등이 동물성 단백질을 분해해 유화수소와 암모니아를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물질을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저분한 화장실에 들어가면 코를 움켜쥐게 하는 이상한 냄새를 느끼게 되는데, 이 냄새가 암모니아입니다.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냄새지만, 일상적으로 느끼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유화수소는 달걀이 썩는 냄새가 나는데, 이는 유황온천을 연상하면 됩니다. 유황온천이 있는 곳은 거리 전체에서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데, 바로 이 냄새가 유화수소 냄새입니다. 

 

유화수소도 암모니아도 지극히 강력한 신경독물질입니다. 과거의 전쟁에서는 이러한 가스가 화학무기의 재료가 되는 신경 독가스로 사용됐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몸속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은 매우 위험하지만, 장 속의 세균 균형이 붕괴되면 그러한 일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은 자신의 대변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고 착각하고 있으니, 참으로 어이가 없습니다. 

 

 

이 사실은 꼭 기억해두기 바랍니다. 유화수소와 암모니아가 우리 몸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굉장히 위험합니다. 치매와 당뇨병 등의 원인이 되며, 그 밖의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궁금하시죠?

 

우리의 뇌는 대단히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두발, 두피, 두개골 등의 순서로 6~7겹으로 둘러싸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도 부족하다는 듯이 혈액뇌관문이라는 검문소를 만들어 뇌로 들어가는 영양소를 일일이 체크하고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과다 섭취로 인해 발생한 암모니아는 체액에 녹기 쉽기 때문에 온몸을 순환하는 혈액 속으로 즉시 흡수됩니다. 동물성 식품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해 혈액 속의 암모니아가 보통 때의 2~3배가 되면, 뇌로 통하는 검문소 역할을 하는 혈관뇌관문을 파괴합니다. 뇌로는 포도당만이 통과하도록 돼 있는데, 검문소 역할을 하는 혈액뇌관문이 암모니아에 의해 파괴되면, 뇌로 들어가면 안 되는 이물질이 뇌 검문소를 자유롭게 무사통과해 뇌 속으로 들어갑니다. 

치매에 걸린 사람의 뇌를 조사해보면, 뇌로 들어가면 안 되는 철분과 알루미늄이 다량 들어 있다고 합니다. 

 

 

썩는 냄새의 방귀와 대변은 단백질 과다 섭취가 원인입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무시하고 고기만 과다 섭취하면, 언젠가는 '병원에 잠깐 다녀가십시오!'라는 초대장과 함께 많은 금액의 청구서가 날아들 뿐만 아니라 우리의 몸숨까지 위협하는 악질적인 폭력배(각종 질병)가 잇달아 등장한다는 사실을 기억해둬야 합니다. 

 

발췌_건강 서적 100권 한번에 읽기/ 음식으로 예방하고 치유하는 자연 건강법 

 

 

 

자연식물식, 평생 살 안찌고 사는 10대 원칙

평생 살 안 찌고 사는 10대 원칙 자연식물식이란 고기 생선 계란 우유 각종 기름을 먹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식물만 먹는 채식을 말한다. 평생 살 안찌고 사는 원칙의 핵심은 너무도 간단하다

heidi211.tistory.com

 

반응형

댓글